강지훈
응급의학과
전문과목
응급의학, 중환자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오전 | ||||||
오후 |
12월
강지훈
응급의학과
전문과목
응급의학, 중환자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오전 | ||||||
오후 |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사 (1995)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의학석사 (1999)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의학박사 (2014)
전북대학교병원 인턴
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전공의
전북대학교병원 1339 전주응급의료정보센터
전주예수병원 응급의학과장, 응급센터소장
전주기전대학교 응급구조과 겸임교수
전주비전대학교 응급구조과 시간강사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 진료교수
(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대한응급의학회 정회원, 대의원
대한중환자의학회 정회원, 세부전문의
삼남응급의학회 총무이사, 정보이사
보건복지부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기관평가 평가단
대한응급구조사협회 전북지회 자문위원
대한심폐소생협회 부산백병원 KALS TS Director & Instructor
대한심폐소생협회 부산백병원 BLS Instuctor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심폐소생위원회 위원장
부산광역시 시응급의료위원
김제시장 표창 (2001)
전라북도지사 표창 (2015)
부산광역시장 표창 (2018)
부산광역시장 표창 (2021)
2022. The work and socioeconomic burden of emergency physicians in the COVID-19 pandemic: 2020 Korean Emergency Physician Survey.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4 Suppl.):67-75.
2022.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응급의학 전문의들의 재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4 Suppl.):57-66.
2022. 응급의학과 전문의 총조사를 이용한 응급의학 전문의의 근무량.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4 Suppl.):49-56.
2022.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세대별 근무, 삶, 직업인식에 대한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4 Suppl.):38-48.
2022.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depression in emergency physicians of Korea: results from the 2020 Korean Emergency Physician Survey.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4 Suppl.):29-37.
2022. 응급의학 전문의로 건강하게 일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4 Suppl.):20-28.
2022. 응급의학과 전문의 총조사 자료를 이용한 응급의학과 의사의 남녀 차이.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4 Suppl.):11-19.
2022. 2020 대한민국 응급의학과 전문의 총조사.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4 Suppl.):1-10.
2022. Smartwatch를 이용한 응급의학과 전공의와 비응급의학과 전공의의 24시간 근무 시 신체적(physical) 업무강도 비교: 전향적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2022;33(2):211-218.
2022. 펼쳐진 상태의 구급차용 침대차에서 시행하는 한 손 가슴 압박의 효과 및 압박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자의 특성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2020;33(1):11-18.
2022. "Elbow-Lock" Chest Compression Method in the Setting of Single Rescuer Pediatr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Crossover Simulation Study. Pediatr Emerg Care 2022;38(2):e583-e587
2021. 응급실로 내원하는 급성중독환자의 원인물질 분석을 위한 중독 분석 실 이용 현황 및 이용 만족도 조사: 전국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설문조사. 대한임상독성학회지 2021;19(2):110-126.
2021. Changes in the pattern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after COVID-19 pandemic: an observational cross sectional study. BMC Psychiatry. 2021;21(1):571.
2021. 응급실로 내원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자살 진정성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 분석: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관리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 대한임상독성학회지. 2021;19(1):8-16.
2021. 요골동맥 천자 보조 도구의 초기 경험. 대한응급의학회지. 2021;32(2):162-9.
2021. COVID-19 발현 이후 병원간 이송 시 민간 이송업체를 통해 응급실로 전원된 환자들의 특성 변화: 후향적 연구.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21;25(1):125-34.
2020. 국내 독성정보 검색을 위한 인터넷 웹사이트 분석.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20;24(3):117-28.
2020.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왜 그만두는가? 대한응급의학회지. 2020;31(2):236-45.
2020. 황화수소에 집단 노출되어 치료한 환자들에 대한 임상 보고와 문헌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2020;31(1):17-22.
2020. COVID-19 발현 초기 119 구급대를 경유해 응급실로 내원하는 환자들의 이송 시간과 호소하는 증상의 변화: 부산지역 일개 응급의료센터로 이송된 환자의 구급활동일지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20;24(3):161-9.
2019. 국문으로 개발된 기본심폐소생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 평가.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19;23(3):41-51.
2018. 약물 중독 환자에서 방사선 비투과성표지자 (Kolomark) 를 이용한 위장관 내 활성탄 통과 시간 예측. 대한응급의학회지. 2018;29(4):297-303.
2018. 중심정맥관 삽입 시 발생하는 공기유입량의 예측: 실험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2018;29(6):641-8.
2017. An Anesthesia, Surgery, and Harvest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Transpedicular Screws Using an In Vivo Porcine Lumbar Spine Model. JoVE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2017(123):e55225.
2017. The Accessory Sacroiliac Joint Diagnosed With Bone SPECT/CT. Clinical nuclear medicine. 2017;42(6):483-4.
2017.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 환자의 예후 예측 인자로서 하대정맥 직경비의 유용성. 대한응급의학지. 2017;28(4):318-26.
2017. 시각 신경집 지름 크기의 유용성. 대한응급의학회지. 2017;28(4):334-44.
2014. 어지럼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중추성 원인에 대한 예측인자들: ABCD2 스코어의 유용성.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2014;13(2):34-40.
2013. 건강한 젊은 성인에서 액상 물질 한 모금 삼킴량의 측정. 대한임상독성학회지. 2013;11(2):114-8.
2008. Clinical Features of Acute Endosulfan Intoxication: A study of 15 cases. 대한응급의학회지. 2008;19(5):521-6.
2000. 흉부둔상에 의한 대동맥판 폐쇄부전-2 례. 대한응급의학회지. 2000;11(3):406-10.
1999. 급성 약물중독 환자의 응급의학적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999;10(3):431-40.
1998. Bag-Valve 용수환기 시 환기빈도와 손의 특성이 흡입 산소농도와 일회 환기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1998;9(1):7-13.
1998. Glufosinate Ammonium 을 포함한 제초제 (Basta) 중독. 대한응급의학회지. 1998;9(4):652-8.